제목   |  In mummies, professor finds clues to our past 작성일   |  2012-11-12 조회수   |  3056

In mummies, professor finds clues to our past

‘My goal is to show the ancestors’ living conditions through scientific means.’
"조선시대 남자 평균 키는 일본인보다 무려…"

Nov 10,2012
 
  “My work focuses on looking at samples taken from excavation sites through a microscope. Help from archeologists was absolutely needed,” said professor Shin Dong-hoon. By Kwon Hyuk-jae

One day in 2001, while a grave was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ferred to another burial site, a boy mummy known as “Dan-woong” was discovered in Yangju, Gyeonggi.

Upon the discovery, the nation’s paleopathologists were rendered speechless and gathered around to see the mummified body. One of the observers was Prof. Shin Dong-hoon.

Though Shin majored in anatom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had been studying neuroscience, upon seeing “Dan-woong,” he changed his career path and decided to become a professor of paleopathology.

Paleopathology is known as the study of ancient diseases, but that’s not all. It also examines how ancient people managed their health and living conditions as well as what caused their deaths.

As the study is completed through fossil examinations of mummies and animals, paleopathology is a combination of archeology and medical science.

Although countries including the U.S. and France have long been the leading scholars in this academic field, Korea only just started researching it 10 years ago.

“Before, not many people were interested in it, and there was little knowledge of the research either. But as time passed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developed, more precise results showed up and people gradually came to take notice of it,” said Shin.

In 2002, the world’s first-ever pregnant mummy was found in Paju, Gyeonggi.

Named the “Mother and son mummies of Papyeong Yoon’s family,” the mother was apparently pregnant with her baby boy when she died.

After an autopsy, it was determined harsh winter weather was the cause of death.

Two years later near Gyeryong Mountain in Daejeon the “Hackbong General Mummy,” was unearthed.

Such discoveries convinced the academic arena of paleopathology to conduct more intensive research on mummies.

Shin recently made an investigation into the hygienic life of people living in Hanyang (the former name of Seoul)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collaboration with a team of professors from the department of parasitology of Dankook University.

They found that the skins of the mummies are so resilient that even after hundreds of years, they remain in the soil.

For the past four to five years, the research team has been traveling around the country and visiting excavation sites in order to analyze parasites.

They also collected skins of roundworms, whipworms and liver flukes on the grounds of the Seoul City Hall building and statue of King Sejong that were supposedly existent during the Joseon Dynasty.

“At the time of the Joseon Dynasty, the population was rapidly increasing and they didn’t have a proper sewage system so there was a high rate of parasitic infection.

“This hygienic problem was not just in Korea, but it was a crisis for the rest of the world as well,” said Shin.

Shin is planning to announce the examination results later this year.

“My goal is to show our ancestors living conditions through scientific means and to decode the messages they wanted to leave with us,” said Shin.

By Lee Young-hee [estyle@joongang.co.kr]

 

한글 관련 기사

"조선시대 남자 평균 키는 일본인보다 무려…"

● 고고학 하는 의사 서울대 신동훈 교수
● 세균·기생충 알 등 분석 … 조선시대 위생 상태 연구

“조선시대 한양 중심가는 분뇨가 널려있는 지저분한 거리였다.”

 “조선시대 남자의 평균 키는 161㎝로, 일본인보다 6㎝ 컸다.”

 “조선 사람들 중 결핵환자는 많지 않았지만, 기생충 감염률은 꽤 높았다.”

 최근 몇 년 새 밝혀진 조선시대의 생활상이다. 이 같은 연구에 빠짐없이 이름을 올리는 사람이 있다. 서울대 의대 인류학 및 고병리 연구실의 신동훈(46) 교수다.

 고병리학이란 미라나 동물 화석 등을 통해 과거 인류의 건강과 위생상태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고고학과 의학의 결합이다. 미국·프랑스 등에선 고고학의 중요한 분야로 자리 잡았지만, 한국에서는 10여 년 전에 연구가 시작됐다.

 신 교수는 “예전엔 사람들의 관심도 적고, 연구 노하우도 거의 없었다. 최근 학제간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조금씩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2001년 경기도 양주군 해평 윤씨 무덤 이장 과정에서 발견된 소년 미라 ‘단웅이’는 한국의 고병리학 연구를 촉발시킨 계기였다. 서울대 의대에서 해부학을 전공하고 신경과학을 연구해 온 신 교수도 단웅이 연구를 시작으로 이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됐다.

 “원래 고고학이나 역사에 관심이 많았어요. 해당 분야 학자들과 어울리면서 자연스럽게 발을 담그게 됐죠.”

 2002년 세계 최초의 임산부 미라인 ‘파평 윤씨 모자(母子) 미라’가, 2004년에는 대전 계룡산 인근에서 ‘학봉장군 미라’ 등이 발견되면서 미라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고, 관심 있는 학자의 연구모임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최근 화제가 된 조선시대 한양 중심가의 위생상황에 대한 연구는 단국대 의대 기생충학교실의 서민 교수팀과 함께 진행한 프로젝트다. 기생충의 알 껍질은 딱딱한 재질로 돼 있어 수백 년이 지나도 흙 속에 남아 있다. 연구팀은 4~5년 전부터 전국 각지의 유적발굴 현장 등을 돌며 과거 지층에서 흙을 채취해 기생충 알의 분포 정도를 분석해 왔다.

 이 중 서울시청 신청사 건립 현장과 광화문 세종대왕 동상 자리 등에서 채취한 조선시대 흙에서 회충과 편충, 간디스토마 등 각종 기생충 알이 다량 발견된 것이다.

 “당시 한양에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인분 수거가 제대로 안 됐고, 기생충에 감염된 사람도 많았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전근대 도시에서의 위생문제는 비단 한양뿐 아니라 전세계적 현상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신 교수는 연말께 전국 발굴현장에서 나온 기생충 알을 분석한 종합결과도 내놓을 예정이다. “ 추측으로만 존재했던 조상들의 생활상을 과학적으로 되살리고, 거기서 현재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를 찾아내는 게 제 연구의 의의죠.”
 

인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