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U.S. calls for peaceful transition 작성일   |  2011-12-21 조회수   |  3377

U.S. calls for peaceful transition

美, '김정일 사망'이란 돌발상황에…

Dec 21,2011
 
  U.S. Secretary of State Hillary Clinton, right, speaks in Washington on Monday after a meeting with Japanese Foreign Minister Koichiro Gemba, left, about the death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AFP/YONHAP]
WASHINGTON - Concerned that recent progress in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over its nuclear program might be jeopardized by the unexpected death of Kim Jong-il, the United States on Monday called for a peaceful transition in the North.

“The United States stands ready to help the North Korean people,” said U.S. Secretary of State Hillary Clinton in a late statement on Monday, “and urges the new leadership to work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usher in a new era of peace, prosperity and lasting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In an earlier meeting with Japan’s Foreign Minister Koichiro Gemba, Clinton said the U.S. wants improved relations with the North Korean people after Kim’s death and remain concerned about their well-being.

It was the first reaction from the U.S. government to the death of the North Korean leader.
The U.S. was expected to announce resumption of food aid to the North as early as Monday, which was supposed to be followed by the North’s official announcement of the suspension of its uranium enrichment program.

The two sides were known to have reached such a deal in bilateral talks over the past several months, raising expectations that the Obama administration’s “strategic patience” with the nuclear-armed country was finally bearing fruit.
A third bilateral denuclearization meeting was expected in Beijing this Thursday, but is unlikely to take place. The United States says there was never any confirmed plan to meet.
U.S. State Department spokeswoman Victoria Nuland denied that a deal had been made at a Monday press briefing.

“We have not made any decisions inside the U.S. government on that question [of food aid], nor have we made any decisions inside the U.S. government on the question of another round of U.S.-DPRK bilateral talks,” she said.

The United States had yet to decide whether to express condolence over Kim’s death, she said.
“We need to see where they are and where they go as they move through their transition period,” she said. “We will obviously need to re-engage the North at the right moment.”
White House spokesman Jay Carney said it is too early to tell whether Kim’s death opens the door for better U.S. relations with North Korea.

Victor Cha, senior adviser at the Washington-based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said in an interview with the JoongAng Ilbo Monday that Kim’s death has eclipsed all ongoing issues such as food aid and additional talks on the North’s denuclearization, and is bringing the Pyongyang-Washington relations into greater uncertainty.

Cha said he can’t rule out a further provocation from the North if new leader Kim Jong-un comes under the influence of anti-American, hard-line military leaders.


By Park Seung-hee, Moon Gwang-lip [joe@joongang.co.kr]

 
 

클린턴 “북한 주민 도울 준비 돼 있다”

김정일 1942~2011
미·중의 한반도 게임
베이징 견제 나서는 워싱턴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19일(현지시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과 관련, “북한은 현재 국가적 추도기간”이라며 “우리는 북한 주민의 안녕을 깊이 우려하며(deeply concerned), 이 어려운 시기 주민들에게 ‘위로(thoughts and prayers)’를 전한다”고 말했다. 클린턴 장관은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북한의 새 지도부는 약속을 지키고, 이웃나라와 관계를 개선하며, 북한 주민들의 권리를 존중함으로써 나라를 평화의 길로 이끌어나가는 선택을 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클린턴 장관의 성명은 김 위원장의 사망에 대한 미 정부 차원의 조의 표명이다. 성명의 문구는 김 위원장의 죽음을 직접 애도하는 ‘condolence(조의)’라는 단어는 피하되, 북한 주민들을 위로하는 형식으로 정부 내 논의를 거쳐 채택된 표현으로 보인다. 클린턴 장관은 “미국은 북한 주민들을 도울 준비가 돼 있으며, 새 지도부가 한반도의 평화, 번영, 지속적인 안보를 위한 새로운 시대로 향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하기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클린턴 장관은 이에 앞서 겐바 고이치로 일본 외상과의 회담 후 기자회견에선 “북한의 평화적이고 안정적인 전환(transition)을 원한다”고 말했다. 클린턴 장관의 성명과 발언은 중국이 19일 공산당 중앙위원회를 비롯한 4개 기관 명의로 애도 전문을 보내 김정은 후계 체제 지지를 표명한 점을 의식했을 가능성이 큰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한반도 안정을 바라면서도 중국의 발 빠른 대북 접근을 견제하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1994년 7월 8일 김일성 북한 주석 사망 당시 미국 정부는 빌 클린턴 대통령 명의로 ‘미국 국민을 대신해 북한 주민들에게 심심한 애도를 전한다’는 내용의 조의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그 뒤 북·미 관계는 급속도로 진전됐다.

  미국이 94년과 달리 한·미 공조에 힘을 기울이는 점도 주목거리다. 한·미 양국은 조의 형식과 문구도 논의했다. 김정일 사망 직후 오바마 대통령과 이명박 대통령, 클린턴 국무장관과 김성환 외교부 장관, 리언 패네타 국방장관과 김관진 국방부 장관 등 각급 레벨의 카운터파트가 전화통화를 하며 긴밀한 협의를 하고 있다. 그런 만큼 북한 상황 관리와 비핵화를 위한 전략 등 사안은 양국 간 각급 채널을 통해 긴밀하게 협의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북한 내 상황이 정리돼 가는 걸 지켜본 뒤 김정일 장례 절차가 마무리되는 연말께 보다 진전된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오바마 행정부는 특히 한국과 중국·일본에 고위급 특사를 보내 한반도 안정을 위한 국제사회 공조에 나서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박승희·김정욱 특파원
 
인쇄하기